
신용점수 개념, NICE와 KCB의 차이, 신용점수 올리는 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카드를 만들거나, 대출을 알아볼 때 신경 써야 할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현재 자산, 월수입 등 중요한 것이 많지만 다른 중요한 요소가 있다고 한다면 신용점수가 아닐까 하는데요. NICE? KCB? 둘의 차이는 무엇인지, 신용점수가 높으면 어떤 점이 좋은지, 낮다면 어떻게 올려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신용점수란?2021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1~10등급까지로 평가하던 신용’등급’제에서 1~1000점의 점수로 평가하는 신용’점수’제로 신용평가 방식이 변경되었어요. 여기서 신용점수란 NICE, KCB(올크레딧)이라고 하는 신용평가사가 평가하는 개인신용평점입니다. 개인에 대한 부채 상환이력, 연체 기간, 금..

IPO와 공모주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이번 15번째 주제로 선정한 것은 바로 이 IPO와 공모주의 개념, IPO의 장, 단점, IPO부터 상장까지의 과정과 공모주 청약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예전에 비해 공모주의 인기가 엄청나지는 않지만 여전히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는 부분이죠. LG에너지솔루션 공모주 1주 받고 엄청 기뻐했던 게 엊그제 같은데 그것도 벌써 2년이 훌쩍 넘었습니다. 상반기 IPO 기대주로 뽑히는 HD현대마린솔루션이 5월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소식과 함께 오는 4월 16일~22일, 1주일간 수요예측이 예정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일반청약 일정 전에 IPO와 공모주에 대해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 준비했습니다. IPO와 공모주IPO란?Initial Public Offering..

월배당 ETF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커버드콜, 콜옵션, 모르는 말들이 난무하는 ETF의 세계. 파도 파도 끝이 없는 것 같아요. 이번엔 요즘 뜨고 있는 월배당 ETF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월배당이란?월배당은 말 그대로 월마다 배당을 받는다는 것을 말해요. 배당은 주식에 해당하는 이기 때문에 ETF로 치자면 ‘월분배’로도 부를 수 있습니다. 매월 주식 배당 혹은 분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월배당 주식과 ETF의 차이*월배당 주식: 월배당을 시행하는 주식에 투자자가 직접 투자하고, 월마다 배당금을 수령하게 됩니다. 투자자가 직접 투자 비율을 정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월배당 ETF: ETF의 운용해 얻은 이익(배당금, 채권 이자, 부동산 임대수익 등)을 분배금으로 월마다 지급받을 ..

헤지펀드란 무엇일까요? 헤지펀드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알아보고 더불어 사모펀드에 대해서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헤지펀드란 무엇인가?투자자로부터 대규모 투자금을 이용해 다양한 상품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주로 고위험, 고수익 상품에 투자하고, 수익을 내기 위하여 다양한 기법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주식, 채권과 같은 유가증권, 부동산, 원자재 등 여러 방면으로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헤지펀드라는 이름은 헤지펀드의 시초인 알프레드 윈슬로우 존스가 공매도와 레버리지 기법을 이용해 위험을 피했다는 의미로 Hedge(울타리, 금전적 손실을 막기 위한 대비책) Fund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헤지펀드의 특징헤지펀드는 사모펀드의 일종인데요.사모펀드는 공모펀드와는 조금 다른 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

증권사의 투자 상품을 살펴보다 보면 운용사와 같이 증권회사 외의 회사가 연관된 것을 본적 있으실 거에요. 앞서 2번째 주제로 금융권에 대한 분류를 했는데요. 각각의 금융회사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증권사, 자산운용사의 개념과 종류, 각각의 수익구조를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증권사 증권사의 개념과 업무증권회사는 증권시장과 투자자 사이에서 채권과 주식과 같은 유가증권의 매매를 담당하는 주식회사입니다.증권업을 하기 위해서는 증권거래법이라는 법에 근거해서 기획재정부(옛 재무부, 재정경제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증권회사 이외에도 은행, 신탁회사 역시 영업의 종류별로 기획재정부 장관의 허가를 받으면 증권업을 영위할 수 있어요. 증권회사가 수행하는 업무..

ETF란 무엇인가? 하루씩 금융에 관한 공부를 하면서 금융사 홈페이지를 들어갈 일이 꽤 있는데요. 홈페이지의 ETF라는 모르는 말들이 쓰여있어서 ‘다음엔 이 주제로 공부를 해봐야겠다.’ 생각했습니다. 하나하나 알아가면서도 또 모르는 게 수두룩해지는 아이러니, 그럼에도 차근차근 궁금증을 해결해 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ETF란? 개념Exchange Traded Funds의 약자로, 한글로는 ‘상장지수펀드’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특정 지수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습니다. 지수펀드를 거래소에 상장해 마치 주식처럼 사고팔기가 가능한 상품입니다. 지수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앞서 알아봤던 ELS와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ETF는 거래소에서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ELS..